///
어떻게든 막아 보려고 발악들을 하는..
어느 누구도 그 문안을 읽어 본 바가 없다는 TTP / TTIP 도 마찬가지고..
True US History Nov 11, 2015 - TPP Is A Jewish Affair
중국은 미국을 끌어 들이는 미얀마 아웅산 수지 그룹들에 대해 경고를 날리는 현실..
그의 아버지는 민족주의 계열로써, 워싱턴에 의해 살해 되었음에도
지난 세월 미얀마를 지배했던 친중국 군부 세력들에 대적하기 위해
지난 가택연금 시절 외면하거나 당근을 던지는 미국이 내부적인 붕괴를 거치며 외면해 왔음에도
결국 오바마의 손을 잡았는가.. 말이다..
아웅산 수치는 대세 흐름에 대한 파악을 못하고 있는 것인가.. 아니면 약점을 잡힌 신세인가...
그녀에 대한 노벨상 수상 역시도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 워싱턴의 정치적인 계산에 의한 국제적 쇼 였을 뿐인데..
무지몽매한 국민들 상당수는 아웅산 측의 선거승리를 자축 하지만,
NGO 를 가장한 활동가들은 의회 내 25% 의 의결 권한을 지닌 나머지 군부도 축출되어야 한다고만 주장..
NGO 는 늘 위험한 법이다..
따라서,
시진핑 주석의 고민거리들 ?
전부 메이드 인 유에스에이... 라고 AH 에서도 언급되는 중..
True US History Nov 12, 2015 - China's Xinjiang Problem - Made in USA
Ironically, with US-backed NGOs using Uyghur's as proxies in what is basically a terror campaign by with the ultimate goal of seizing Chinese territory, it is not Beijing that poses the greatest threat to the culture and traditions of the Uyghur people, but rather the NGOs "protecting Uyghur rights" while hiding a proxy war serving foreign interests behind them.
중앙 아시아 투르크메니스탄 혹은 신장 위구르 중국 서부지역 국가들은 모두 이슬람 국가들
걔중 일부 국가들에서
민간 NGO 수준에서 벌어지는 민족분열 운동의 배후가
워싱턴이라는 것을 골치 아프게 생각하고 있다..뭐 그런 얘기들..
중국 서부는 동부와 거리가 멀어도 너무 멀다.
따라서 워싱턴의 오래전 부터의 전략은
드 넓은 중국을 분할 시키고 쪼개어 자신들의 거점으로 삼기 위한 것이 목적일 테니까 ..
동시에 미국 역시도 일부 주정부가
세금만 걷어 가고 뭐하나 제대로 해주지도 못하며 전쟁질만 일삼는
워싱턴 중앙정부 로부터 독립을 하기 위해 법적인 시도를 이행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해야하나 말아야 하나...
스페인 역시도 바스크 지방이 스페인 중앙정부로부터 분리독립 하겠다고 헤드라인 보이더라만..
전년도인가에는 스코틀랜드의 독립선거가 치뤄 졌던 바도 있었고..
행성의 지역들은 어찌 보면 푸틴의 언급 처럼
Unipolar 정책이 생리적으로 맞지 않는 게다. Multi-pole 상호이익을 위한 협력이 정답인 듯..
원론으로 돌아와,
여차하면 중앙 아시아 일부 국가들에서 또 다시 해묵은 컬러혁명이 발생 할 수도 있음을 예견하는 기사..
이는 중국 중심의 유라시아 통합 마켓의 구성에 다시 걸림돌이 될 테니..
더군다나, 민족분열 분규 사태로 가면 종교적 특성 상 제2의 이슬람 난장판이 될 수도 있으며
이미 위구르 신장 지구 쪽에서는 폭탄테러 사건이 몇 차례 발생했던 지역임을
중국 시 주석은 역시나 골이 아프다..란 내용들..
True US History Nov 12, 2015 - China's Xinjiang Problem - Made in USA
Ironically, with US-backed NGOs using Uyghur's as proxies in what is basically a terror campaign by with the ultimate goal of seizing Chinese territory, it is not Beijing that poses the greatest threat to the culture and traditions of the Uyghur people, but rather the NGOs "protecting Uyghur rights" while hiding a proxy war serving foreign interests behind them.
암튼,
현실적으로 유태 카쟈르들에 의한 군사적 달러 패권주의의 근간을 날려 먹은 미국은
BRICS 중심의 대변혁 거대 흐름에서 쳐지고 퇴보하지 않기 위한 버튼을 쉴새 없이 걷어 차듯 눌러 대는 나날들..
그러나 이미 늦었다..
게임은 중국과 러시아에 의해 이미 바뀌었으므로..
특히,
러시아는 행성 변화의 게임 체인저로써 전 세계 기독교도들을 구원하는
종교 지정학적 메시아..와도 같은 입장이 되고 있음을 지적하는 글도 보인다..
Political Information Nov 12, 2015 - Russia – a game changer for global Christianity
Ron: This author's view of Emperor Constantine and the Christian Church tends to ignore the influence of Roman Emperors and the Pharisees on the creation of the Christian religion but to the extent that Christianity has preserved much Christ consciousness in our world it has been a positive influence.
..
원론으로 돌아와,
골드만삭스의 브릭스 펀드 폐쇄..
실상, 달러 보다는 NDB (브릭스 신 개발은행) 의 첫 차관 통화가
중국의 위안화 인 상황까지 왔다.. (전 년도에 전부 다룬 내용들..)
골드만삭스, 브릭스 펀드 폐쇄
골드만삭스가 러시아와 브라질, 인도, 중국에 투자하는 브릭스 펀드를 접었다. 블룸버그 통신은 신흥 시장 지원 폰드를 포함해 브릭스폰드와 관련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보고서를 인용 보도했다. 세르게이 카라타예프 러시아 전략 연구소 경제연구센터 대외경제부 대표는 골드만삭스의 결정은 경제적 손실을 불러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일은 투자 회사 및 투자 시장 수준에서 일어났다. 이러한 펀드는 수백개에서 수천개가 있다. 이들 펀드 가운데 하나가 폐쇠되면 다른 펀드가 개설된다. 현재 BRICS 국가 주식 지표 투자자의 관점은 변경됐다. 러시아 시장은 아직 성장하지 않았고, 브라질도 문제가있다. 여기에 중국 시장도 하락했다. 그리고 극복 과정이다. 여타 모든 국가 지표를 고려할 때 이러한 펀드를 유지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브릭스 펀드를 개설하면서 조직자들은 러시아와 인도, 브라질에서 수익이 날 것을 예상하면서 중국 경제 투자에서 많은 이윤이 창출될 것이라 기대했다. 2010년 브릭스 폰드 가치는 절정에 이르렀었다. 그렇지만 이후 2011년 도미니크 윌슨 골드만 삭스 이코노미스트는 4개국 고용율 감소로 인해 브릭스에 대한 기대심리가 낮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렇지만 세르게이 카라타예프는 현재 브릭스가 처한 난항이 그들의 약점을 확인시키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그는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 은행 등 국제 금융기구의 보고서를 살펴보면 최근 BRICS 국가들은 별도의 그룹으로 분류돼 있다. 이는 브릭스의 현 상황과 인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BRICS 전망에 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그는 BRICS는 경제 블록 이외에 다른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브릭스는 경제 프로젝트만 가동되는 것이 아니다. 경제 및 금융 분야는 관심있게 봐야 할 점이 많을 뿐이다. 브릭스는 과학을 비롯해 교육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최근 모스크바에서 브릭스 대학 포험이 열렸듯 협력 범위 매우 광범위하다"고 지적하면서 "경젲거인 관점에서 봤을 때 올 여름에 러시아 우파에서 열린 브릭스 정상 회담의 결과를 기억해야 한다. 브릭스 회원국은 브릭스 은행 설립을 통해 투자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기로 했다. 이밖에도 외환 보유 기금의 설립도 논의했다. 브릭스 국가들에 있어 이러한 조치는 상호 원조 기금을 통한 안전적인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브릭스 은행과 외환 보유 기금 설립은 IMF 경쟁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할 수 있다. 이밖에도 서구 금융 기관의 영향력으로부터 회원국을 보호하는 것도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원문기사 보기: http://kr.sputniknews.com/opinion/20151110/786286/goldman-sachs-brics-fond.html#ixzz3rLxQQGV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