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orever Journey
카테고리 없음

[국내 미군 탄저균 실험사태의 본질..] America’s Weaponization of Ebola By Prof. Wayne MADSEN

by 煌錦笑年 2015. 12. 18.

///


미국은 이 나라에서 탄저균 실험을 16 차례나 시행했다는 내용이 터져 나온다..
오산의 미군 생물학 실험실 였겠지..

미국이 죠지 소로스 계열의 자금을 바탕으로.. 
자국에서는 위험 할 수 있으니

메릴랜드 주 포트 데트릭 소재의 미육군 질병무기 연구소를 허브로 삼아,


전 세계 곳곳에 그들 만의 생물학 무기 제조 및 실험실들을 널어 놓고 

바이러스들을 합성 제조해 낸다는 것을 고발하는 
Prof. Wayne Madsen 의 과거 New Eastern Out Look 의 명 기고문..


도대체 왜 한국 내부의 미군기지들에서 

16 차례 이상의 탄저균 실험을 저질렀다는 폭로성 뉴스가 터져 나오는가..에 대한 

넓은 그림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에 체험 블로그에 기록했던 글을 꺼내다 발라 본다.

요즘은 흥미로운 주제와 분야가 달라져서 그런가..
하지만 하단과 같은 내용들을 찾아 보고자 한다면 

누구라도 쉽게 찾아 낼 수 있음을 충분히 남겼던 바.. 공부하고 싶은 사람은 찾아 보면 되겠음.

..



하단 기고문의 저자 Wayne Madsen 은 

전직 미 해군 정보기관의 정보장교 였으며
추악한 유태 카쟈르 지배체제 하의 미국의 핵심적 범죄 실상들을 통렬하게 고발, 게재하며 
핵심을 날카롭게 퍼 올려 던지는 명 기고문들을 쏟아 내는 국제적인 저널리스트..


그의 글들만 읽어 보아도 이 세계가 돌아가는 방식의 절반 이상이 눈에 잡히게 된다.
아울러 하단의 글은 영화 Born Legacy 를 떠 올리게도 하는 듯..

글에 관한한 

나는 단지 육신의 신경계와 그 일부인 키보드 위에서 춤을 추는 손가락을 

집단을 위한 작은 봉사도구로 아버지의 제단에 순수히 내려 놓은 대리인 였을 뿐이다.

나는 겸허한 대리인 이고 싶을 뿐이다..





<이하 2014년 10월 기록했던 글..>



2014.10.30 11:02

안녕하세요. The Art 입니다.

[화제와 논평] 코너가 신설이 되었습니다.


디아트 통신의 편집판 성격을 지닙니다만.. 

그래도 같은 양자공간에 다른 방식으로 디자인을 시도하게 되었습니다.


정보 역시도 퀀텀장(場) 혹은 양자단위의 진동이니, 

의식과 소리 빛 양자장의 진동..Scala wave.. 


어떤 형태로든 우주의 진동은 바로 의식을 반영하고요.

Soul 은 Over Soul 의 구체적 아이덴티티를 반영하며 늘 한 세트로 이뤄나가네요.


인터넷 기반의 이러한 컴퓨터  작동 방식 역시도 행성의 근대사에서 외계로부터 주어진 기술이니

양자론적 사고체계는 알게 모르게 인간의 의식활동에 중대하고 필수적인 이해의 도구로 자라잡아 갑니다.


[화제와 논평] 첫 단추의 주제는 생물학 무기화 되고 있는 에볼라 인데요.

날카로운 비평의 칼날이 서슬푸른 Strategic-Culture Foundation 의 기사를 인용해 봅니다.


지금도 AH 에서는 에볼라와 관련된 거짓 프로퍼갠더 및 관련 인용된 기사들이 계속 다뤄지고 있네요.


그에 앞서, Ebola, HIV, 등.. 

미국방성의 연출 감독 및 죠지 소로스 계열의 자금을 바탕으로 

연구 개발 시설들이 과거 서부 아프리카 지역에 설립된 것은 이미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소위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합성된 이러한 바이러스들은

계속적으로 변종들을 양산해 내는데..

마치 더욱 나아진 기능을 선보이는 New Face 기능의 차량 모델들 처럼 말이죠. 


도대체 어디서 누가 어떻게 연구개발이라도 하는 것일까요 ? 


하단의 기사들은 세계 곳곳에 이러한 연구개발 시설들이 포진해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동남아는 바이러스 제조에 관한한 OEM 수준의 미 국방성의 시설들이 널려 있는 모양이네요..


영화 본 레거시의 후반부 배경이 떠오르기도 하고요..


장면 뒤에서 진척시켜온 과학기술의 수준은 사실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만,

대중들은 물리적 환경을 넘어서서 이해와 의식의 분야에서도 노예가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정보의 획득과 앎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본 블로그의 목적이기도 하고요..


앎은 더 큰 자유를 위한 일종의 열쇠고요.

현 발전단계에서는 어둠의 실체를 까발리기 위한 필연과정으로 봅니다.. 피곤하죠..;; 


에볼라 관련하여 하나라도 구체적으로 깊게 파보자 싶어 골라본 내용입니다.

곳곳에 미 국방성의 생물학 무기 연구 제조 시설들이 널렸더라... 라고 요약 될 것도 같습니다. 





America’s Weaponization of Ebola


미국에 의한 에볼라의 생물학 무기화를 위한 연구 실체들.





Wayne MADSEN | 24.10.2014 | 00:00


 

President Barack Obama has received a torrent of criticism for dispatching U.S. troops and National Guardsmen to the Ebola-ravaged West African countries of Liberia, Sierra Leone, and Guinea to help control the spread of the highly-lethal Ebola-Zaire hemorrhagic virus. While Cuba has sent qualified doctors to the stricken region, Obama has responded with troops answering to the U.S. Africa Command in Stuttgart, Germany. 


버랙 오바마는 출혈성 에볼라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아 내기 위한 명목으로 이미 창궐한 지역들인 기니아, 시에라 리온, 라이베리아 등의 서부 아프리카 지역으로 자국의 정부군과 군대를 파견한 것에 대해 쏟아 지는 비난을 얻어 먹은바 있다. 반면에 쿠바의 경우는 잘 교육된 의사들을 창궐지역으로 보냈고 오바마는 독일 슈트트가르트 소재의 아프리카 미 주둔군 사령부 군대를 해당지역으로 파견하는 것으로 화답했던 것이다.


Evidence has recently surfaced in a 2009 U.S. embassy Berlin cable to the U.S. State and Defense Departments that German authorities hesitated to send hemorrhagic fever cultures to the suspected biological warfare laboratory at the U.S. Army Medical Research Institute of Infectious Diseases (USAMRIID) in Fort Detrick, Maryland because the Germans feared the Army might «weaponize» the cultures.

The cable, classified as «Sensitive», is dated December 15, 2009 and states:


2009년, 미국방성과 연결된 베를린 소재의 미국 대사관에서 관련 증거들이 표면화 되었는데, 당시 독일 관료들은 고원성 출혈열 증상 원인(증상 유발 바이러스군?)들을 ->  생물무기의 제조와 관련이 있다고 의심받고 있는 미 메릴랜드 포트 데트릭 소재의 미육군 전염질환 연구소 (USAMRIIS) 생물무기 실험실로 보내는 것을 매우 주저했었다. 왜냐면 미군부가 이 증상인자 바이러스로 또 다른 생물학적 무기를 제조할지도 모른다는 점을 두려워 했기때문이다. 민감한 기밀사항으로 분류된 이 연관성을 지닌 사안은 2009년 12월 15일 이라는 날짜가 소인되었고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German MF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eputy Head of Division for Export Control Markus Klinger provided the following non-paper to Econoff [Embassy Economics Officer], seeking additional assurances related to a proposed export of extremely dangerous pathogens to the U.S. Army Medical Research Institute for Infectious Diseases. The Army's end use certificate provided to Germany is lacking an official seal. Klinger's deputy, Nancy Reck, noted that Germany had made two follow-up requests to the Army seeking assurances and clarifications related to this proposed export. The GOG [Government of Germany] seeks assurances from the USG [US Government] or US Army that the end use certificate and the information contained therein are legitimate and accurate».


독일 외무성 해외 수출부 담당 차관 마르쿠스 클링거는 다음과 같은 비문서화 형태로 대사관 경제분과에 제안했는데, 즉, 미육군 전염질환 연구소로 이처럼 대단히 위험한 병원균을 수출 요청을 받는 것과 관련해서는 좀 더 확실한 추가적인 안전보증이필요하다는 것이었다. 독일측에 전달된 미 육군측 최종 사용 승인은 정부차원의 공식적인 인증봉인이 빠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킬링거의 부관 낸시 렉은 독일측이 미 육군 측에 추가 보충적인 요청사안들 및 미육군 측의 이러한 수입요청에 관한 명확성에 관해 주목했다. 독일정부는 미국 정부나 미 육군측의 구체적인 확인과 최종사용 승인 관련정보 및 합법성과 정확한 인증에 관한 관련 정보들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The «non-paper» reference is to an «aide-memoire», what is known in the diplomatic world as a note without an author, source, or title that is used to prepare for negotiations. The following «non-paper», which was originally written in German, was translated by the embassy and sent to Washington:


<< 비문서 >> 레퍼런스는 외교계통에서는 일종의 비망록의 형태로, 대외적 협상준비에 관해 저자, 정보근거, 제목등을 배제한 기록문의 형태로 사용되어져 온 것이다.



«For Official Use only 


<< 공식적인 문서 정보로만 사용가능


Against the background of our partnership in the area of non-proliferation and our excellent cooperation in the matters of export controls, we would like to bring the following issue to the attention of your government. 

A German firm has applied for the approval of the export of 184 genetic elements with nucleic acid sequences of viruses for the production of recombinant viruses. The viruses will be used in optical imaging to identify host factors required for viral replication. The recipient in the USA is, according to the enclosed end use certificate, the Department of the Army 'US Army Medical Research Institute for Infectious Diseases (USAMRIID)' Fort Detrick, Maryland. 


(중략..)

독일의 한 회사가 재조합 바이러스들의 생산을 위해 특정 바이러스의 핵산 연속체들을 지닌 184개의 유전연구용 인자들의 수출 승인을 얻기 위해 지원했던 바가 있었다. 그 바이러스들은 바이러스 복제를 위해 숙주인자들의 광합적 이미지에 관한 규명에 사용될 예정이었던 것. 이 샘플들의 미국내 수신처는, 외교 비문서에 따르면, 바로 미국 메릴랜드 포트 데트릭 소재의 미 육군 전염병 의학 연구소 였던 것이다.


.

Specifications in English about the goods, the recipient and end use can be seen from the end use certificate. The goods are controlled by the Australia Group and are subject to compulsory export approval (List position C1C353A). This matter concerns the complete genome of viruses such as the Zaire Ebola virus, the Lake Victoria Marburg virus, the Machupo virus and the Lassa virus, which are absolutely among the most dangerous pathogens in the world. The delivery would place the recipient in the position of being able to create replicating recombinant infectious species of these viruses. 


(중략).


Because of the particular criticality of these goods, the German federal government practices an exceptionally restrictive approval policy for such exports. An approval here can only be issued if an improper end use in association with the development or production of biologic weapons approaches can be foreclosed with a probability approaching certainty. The enclosed end use certificate is on the letterhead of the U.S. Army. The required official seal is missing, however. A decision about the export has not yet been made. Given the foregoing, we would appreciate confirmation that the end use certificate really is from the Department of the Army and of the accuracy of the data contained therein. We look forward to the continuation of our excellent cooperation in matters of non-proliferation and export controls.»


(중략).


The German government specifically stated that the ability of Fort Detrick to «create replicating recombinant infectious species» of dangerous hemorrhagic viruses could violate international controls on the export of dangerou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hat are enforced by the Australia Group of signatories to biological, chemical, and nuclear export treaties.


특히 독일 정부측은 - 포트 데트릭 측이 매우 위험한 출혈성 바이러스들의 감염성 인자들의 재조합 복제를 제조해 내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대량살상이 가능한 위험한 생물학, 화학, 핵 분야의 물질이 무기류(인자) 물질들의 수출을 국제적으로 통제하고 있는 국제조약사항을 위반하게 될 수도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The Germans are in a position to be well aware of past U.S. involvement in biological warfare operations, especially in Zaire, where, in 1976, the first major outbreak of the Zaire Ebola virus, referenced by the Germans in their aide-memoire, occurred near the Ebola River in northern Zaire (now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독일측은, 자신들의 외교 비망록이 언급하고 있듯이, 1976년 아프리카 자이레에서 최초 대량의 에볼라 바이러스가 창궐했었고 여기에 미국이 작전형태로 개입했었음을 잘 인지하고 있는 위치에 있다. 자이레는 현재의 콩고 민주공화국의 과거 명칭이며 북부 자이레 에볼라 강 인근에서 대량창궐 했었던 사건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In 1976, while the CIA was experimenting with Ebola and HIV in Zaire as part of its illegal covert war against the Marxist government of Angola, Orbital Transport und Raketen AG (OTRAG), or Orbital Transport and Rockets, Inc., a Stuttgart-based West German corporation closely linked to West Germany's Bundesnachrichtendienst (BND) intelligence service and the U.S.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helped establish a huge 100,000-square mile rocket base in the Shaba (Katanga) province of Zaire. 


1976년 당시, CIA 는 에볼라와 HIV의 실험을 자이레에서 실시하고 있었다. 이 실험은 앙골라의 막시스트 공산주의 정부를 대상으로 하는 불법적인 비밀전쟁의 일환이었으며, 이 불법전쟁에는 슈트트가르트 기반의 서독의 한 회사인 궤도 운송 로켓 제조사(OTRAG)가 동원 되었는데 이 회사는 서독 분데스나크릭 텐디엔스트 (BND) 정보국과 미국 NASA 와 매우 밀접한 연계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쟈이레 샤바 (카탕가) 주에 10만 평방 마일에 이르는 거대한 로켓기지를 지녔는데 이 기지의 설립을 지원했었던 것은 바로 NASA 였다.



The base was not only involved in launching rockets but also in providing the CIA with a base of operations against the Marxist government of neighboring Angola. The authorization for the CIA to use the OTRAG zone as a base of operations for its illegal support for right-wing guerrillas in Angola came from Secretary of State Henry Kissinger and the operations were carried out by CIA director George Bush.


이 로켓기지는 단지 로켓의 발사시험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CIA 측이 앙골라 인근의 막시스트 공산주의 정부를 박살내기 위한 작전기지로써의 역할 또한 제공하고 있었던 것이다. CIA 가 앙골라 지역에서 우익 게릴라를 불법적으로 지원하는 작전을 펼치던 기지로 사용되는 OTRAG 구역에 관한 시설 사용권한은 미 국무성 헨리 키신저에 의해 승인되었던 것이며 그로부터 게릴라 작전은당시 CIA 국장 죠지 부쉬에 의해 전개되었던 것이다.  



OTRAG's Zaire base was shut down in 1979 and it was relocated, courtesy of Libyan leader Muammar Qaddafi, to the Libyan Desert in 1981. Soviet leader Leonid Brezhnev was so concerned about the OTRAG base's offensive capabilities he pressured French President Valery Giscard d'Estaing to weigh in with Mobutu to force the base's ouster from Zaire. The German government’s present concern about the American weaponization of hemorrhagic fevers that have plagued Zaire/Congo indicates that Brezhnev was correct in suspecting the actual purpose of the OTRAG base. The first Ebola outbreak in Zaire in 1976 coincides with the start of operations at the OTRAG base.


OTRAG 쟈이레 기지는 1979년 폐쇄되었으며 1981년도에 무암마르 카다피가 국가지도자였던 때의 리비아 사막으로 이동, 재배치 되었다. 당시 구소련의 지도자 레오니드 브레즈네프는 쟈이레에 위치한 OTRAG 기지의 공격적인 능력들을 심각하게 염려했으며 결국 당시 프랑스 대통령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탕 대통령에게 쟈이레 CIA 의 작전기지를 축출해 내야만 한다는 심각한  염려 사안을 전달하기도 했던 것이다. 이미 쟈이레와 콩고 지역을 전염병 발원 지역화 시켰던 이와 같은 고열 출혈성 증상 원인균을 무기화 하고 있는 미국의 방식에 관해 당시 독일정부 측이 심각하게 염려했던 사안이었으며, 이는 곧 쟈이레 소재의 OTRAG 기지의 실질적인 (군사적) 목적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던 브레즈네프 서기장의 염려가 옳았음을 나타내고 있다. 쟈이레에서의 최초 에볼라 대량창궐은 1976년 였으며 이는 OTRAG 기지의 작전실행 시점과 일치한다.     



The CIA's longtime Technical Services Director, Dr. Sidney Gottlieb, who came up with various ways to infect CIA targets like Congolese Prime Minister Patrice Lumumba, Cuba's Fidel Castro, and Iraqi leader General Abdel Karim Kassem with lethal toxins, admitted to a congressional hearing that as early as 1960 he disposed in the Congo River a large quantity of viruses to contaminate anyone who used the river for drinking water.


CIA 에서 장기간 기술 제공부문 디렉터로 근무했던 시드니 고틀립 박사는, CIA 의 타겟대상 인물들, 예로 콩고의 수상 파트리샤 르뭄바, 큐바의 피델 카스트로, 이라크 압델 카림 카셈 장군과 같은 자들을 치명적인 독극물질들로 감염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을 찾아 냈던 장본인인데 그는 청문회를 통해 1960년 이전에 대량의 바이러스들을 살포하여 식수원으로 사용한 모든 사람들을 바이러스에 감염시키려 했었다는 것을 인정하기도 했다.



The U.S. embassy in Lusaka, Zambia was quick to report in an October 3, 2008 cable to Washington the outbreak of an unknown virus among six South African members of a safari group on the Lower Zambezi River that was caused by «person-to-person transmission may be via bodily fluids -- vomit, saliva, blood, etc.» However, with only preliminary evidence from the CDC, the embassy was quick to rule out «Ebola, Marburg, and Crimean-Congo» as the cause of the illness of the South Africans. 


쟘비아 루사카 소재의 미국 대사관은 2008년 10월 3일 워싱턴 측으로 보고서를 보내는데, 알려지지 않은 바이러스로 쟘베지 강에 보트를 놓고 사파리를 했던 6명의 남아프리카 인들 사이에서 전염병이 발생했다는 내용이었다. 보고서는 구토물, 타액, 혈액 등의 신체체액을 경유하여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염된 것이 발병 원인이라고 언급하고 있었다. 그러나 CDC 측이 제공했던  사전 자료들만 제시한 대사관 측은 단지 남아프리카인들 사이에서 발생한 <<에볼라, 마부르그 그리고 크리미안 콩고 출혈열>> 증상에 불과하다며 신속하게 무마시키기도 했다.



The Walter Reed Johns Hopkins Cameroon Program (WRJHCP), based in Yaoundé, Cameroon, and involving both the CIA-connected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 and the U.S. Military HIV Research Program (USMHRP), has been closely «monitoring» Cameroon’s border with the Republic of Congo for Ebola and other hemorrhagic fever outbreaks.


카메룬 야운데 소재의 월터 리드 죤스 홉킨스 카메룬 프로그램 (WRJHKP)은 -> 두 개의 미국정부 기관인 CIA와 연계되어 있는 미국제 개발기구 USAID 와 미 육군 HIV 연구프로그램 (USMHRP) 측과 한데 묶여 돌아가는 기관으로써 에볼라와 또 다른 고열 병원성 발생여부를 콩고 공화국과 카메룬 접경지대에서 면밀하게 모니터링을 실시해 오고 있다.



It is not only in Africa that the United States is suspected of violating the 1972 Biological Warfare Convention by engaging in bio-weapons research. In addition to the United States, an October 4, 2008 cable from the U.S. Mission in Geneva to Washington stated that Ukraine, then under the rule of pro-NATO President Viktor Yushchenko, was insisting that compliance with the Biological Warfare Convention was the responsibility of «individual scientists’» adhering to unenforceable «codes of conduct.» 


생물학 무기 연구분야와 관련성에 의해 1972년 생물학 무기 국제조약이 미국에 의해 위반되고 있다고 여겨지는 지역은 단지 아프리카 지역 뿐만이 아니다...



Another 2008 cable from the U.S. embassy in Manila describes how 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ssisted the Philippines in examining the outbreak of the milder form of Reston Ebola in the Philippines swine stock. The Reston strain gets its name from a 1989 outbreak of Ebola at the Reston Primate Quarantine Unit in Virginia, near Washington, DC that killed a number of primates. The facility was linked to Ebola and Marburg virus research at Fort Detrick. Viral outbreaks in Southeast Asia, such as that Ebola Reston swine outbreak in the Philippines, also involved researchers from the U.S. Naval Medical Research Unit (NAMRU-2) in Jakarta, Indonesia. Several Indonesian health officials and politicians have charged that the U.S. Navy facility is not only involved in bio-warfare research but also directly assisting U.S. Big Pharma companies in research of airborne influenza, such as H5N1 avian flu, as well as anthrax, infectious bursal disease, and other pathogens. 


2008년도의 사례로써, 필리핀 마닐라의 경우 미국 질병통제 연구센터 (CDC) 측이 어떻게 돼지농장 지역의 레스톤 에볼라가 가벼운 정도로 발생했었는지를 조사하는 것을 지원했었는가를 의문시하고 있다. 레스톤 변종은 1989년 워싱턴 D.C 인근에서 일부 영장류들을 죽음으로 몰고간 전염병이 사건이 발생했던 버지니아 주 레스톤 지역의 영장류 격리 시설에서 유래한다.

그 지역의 시설은 에볼라와 마르부르그 바이러스 연구시설이 포트 데릭에 위치해 있다. 


또한 에볼라 레스톤 돼지 바이러스가 필리핀과 같은 동남 아시아 지역에서 바이러스성 형태로 발병한다는 것은 인도네시아 쟈카르타 소재의 미 해군 의료연구 시설 (NAMRU-2) 와 같은 연구자들과 관련이 있다.  일부 인도네시아의 보건부 관료들과 정치인들은 이러한 미 해군의 연구시설들이 단지 바이오 무기 연구개발 뿐만 아니라 이 연구시설들이 공기중 감염전파가 가능한 H5N1, 탄저균, 조류감염성 윤활낭병 및 기타 병원균들을 연구하는 미국의 대형제약사들을 직접 지원하고 있다는 사안으로 기소하기도 하였다.




Indonesian Health Minister Siti Fadilah Supari charged that NAMRU-2 was illegally sending biological specimens out of the country. Indonesian Foreign Minister Hasan Warijuda demanded to know why NAMRU-2 personnel enjoyed diplomatic immunity. Soeripto, the Deputy Chair of Parliamentary Commission III on Law and Human Rights, claimed that NAMRUs were a front for intelligence activities and called for NAMRU-2’s immediate closure. In 2010, the Indonesian government ordered NAMRU-2 to close and it was relocated to Pearl Harbor, Hawaii. NAMRU-2 maintains a detachment in Phnom Penh, Cambodia. 


인도네시아의 경우, 싯티 파딜라 수파리 보건장관은, 불법적으로 생물학 인자를 국외로 반출했던 NARU-2 를 기소하기도 했었다. 이와 관련하여 인도네시아 외무장관 핫산 와리유다는, 이러한 국제조약 위반의 불법적 사안을 두고 NAMRU-2 측이 왜 외교적 면책특권을 즐기고 자빠졌는가 그 이유를 알고자 한다는 요청을 하기도 했다. 동시에 인권과 관련법안의 제3의회 부의장 수에립토는 인도네시아 내부의 NAMRU 실험시설들은 정보기관들의 전략선상의 실험제조 시설들이므로 NAMRU-2 시설의 즉각적인 폐쇄를 요구하기도 했던 것이다. 결국 지난 2010년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NAMRU-2 를 폐쇄하도록 명령했으며 그에 따라 NAMRU-2 는 하와이 진주만으로 재배치 되기도 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NAMRU-2 의 분과 실험시설은 캄보디아 프놈펜 경우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동남아 지역에서의 사스 등의 각종 감염성 변종 바이러스들이 지속적으로 출현해 온 배경이 되는 걸까요??

* 단 시간내에 바이러스가 변종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는 일정 주기의 외신들은 바로 이러한 미 국방성의 현지 연구실험들의 결과들 아닙니까 ??




The Navy continues to maintain NAMRU-3 in Cairo, NAMRU-K in Nairobi, NSAMRU-6 in Lima, and a special detachment in Bangkok. These facilities are engaged in the same type of «research,» including of hemorrhagic fever and influenza outbreaks, which resulted in NAMRU-2’s «walking orders» from Jakarta. All these Navy units have relationships with the perennially suspect USAID, which maintains its own «Public Health Team.» Personnel from NAMRU-3 and the U.S. Air Force School of Aerospace Medicine in Landstuhl, Germany were sent to Kuwait in August 2009 to investigate the sudden outbreak of H1N1 swine flu among U.S. troops stationed at Camp Arifjan. 


미 해군은 NAMRU-3 를 이집트 카이로에 계속 유지시키고 있으며 NAMRU-K 는 케냐 나이로비, NSAMRU-6 는 페루 리마 그리고 특수 분과 시설들은 방콕에 유지시켜 나가고 있다. 이러한 그들의 시설들은 같은 종류의 연구를 해나가는데, 바로 쟈카르타 소재의 NAMRU-2 의 <<walking orders>> 와 같은 결과를 유도해 낸 고열원 병원성 인플루엔자의 창궐을 포함한다. 이 모든 미 해군의 바이러스 연구 시설들은 늘상 자체적으로 공중보건 팀을 지니고 있는 USAID 측과 관계가 있다는 의심을 받아 왔다. NAMRU-3 의 인력들과 독일 란트슈틀 미 공군학교 에어로 스페이스 제약 소속의 일단의 사람들이 2009년 8월에 쿠웨이트로 파견이 되어 아리프얀 기지에 주둔중인 미군들 사이에 발생했던 H1N1 돼지독감의 갑작스런 발병사태를 조사하기도 했던 바가 있다.



U.S. activities at Landstuhl, Stuttgart, Germany’s OTRAG base in Zaire, and a research institute seeking to export Ebola and other deadly pathogens to Fort Detrick have focused on Germany as a nexus for America’s quiet treaty-violating bio-warfare research. one single cable out of a tranche of 250,000 cables released to WikiLeaks has provided the «smoking test tube» for this illegal research that may be behind the current Ebola outbreak in West Africa.

 
이처럼 란트슈틀, 슈트트가르트, 쟈이레 소재의 독일 OTRAG 기지..그리고 미국 포트 데트릭으로 치명적인 병원성 세균과 에볼라를 수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기관에 이르기까지 바이오 무기 연구에 관한 미국의 국제조약 위반사례들의 결집체로써 독일을 겨냥해 왔다. 250,000 개의 폭로된 내부 정보 사항들로부터 비롯된 하나의 정보사안의 공개가 위키르크스 측으로 공개되었으며 이로부터 현재 서부 아프리카의 에볼라 창궐 사태의 이면에는 << 아니 뗀 굴뚝에서 연기가 날리 없지 않은가>> 의 관점으로 보자면 상기 열거한 다양한 불법적 생물 무기 연구시설들에서 기인하고 있음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Tags: CIA Pentagon Africa Germany US


http://www.strategic-culture.org/news/2014/10/24/america-weaponization-of-ebola.html







 

Wayne MADSEN

Investigative journalist, author and syndicated columnist. Has some twenty years experience in security issues. As a U.S. Naval Officer, he managed one of the first computer security programs for the U.S. Navy. He has been a frequent political and national security commentator on Fox News and has also appeared on ABC, NBC, CBS, PBS, CNN, BBC, Al Jazeera, and MS-NBC. He has been invited to testify as a witness before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the UN Criminal Tribunal for Rwanda, and an terrorism investigation panel of the French government. A member of the Society of Professional Journalists (SPJ) and the National Press Club. Lives in Washington, D.C.


all articles




& 참조 사이트:


http://www.news-medical.net/news/20140716/1132/Korean.aspx

http://m.cafe.daum.net/koreamms/T8yG/3235?listURI=%2Fkoreamms%2F_rec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210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