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대 중국 견제용 이라는 표현은 이미 THAAD 소식이 나오기 이전부터 이해하는 이들 모두가 수긍했던 내용.
2. 하단 사진의 힐러리 사진의 여자는 힐러리가 아니다.
3. 현 시점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한국정부에 대한 시각은 미국의 해외 군사거점 기지화 된 상태로 보고 있음.
4. 따라서 남중국해 문제와 함께 다뤄질 때, 한국은 결국 대 중국 대응을 위한 기지역할 뿐이며
5. 수도권 사수 어쩌구는 전부 허튼 소리들이고
6. THAAD 및 남중국 해 사태는 미국의 전쟁주의자들의 수 년전 시나리오였고
7. 한국은 북한의 핵실험 사태와 더부러 전쟁 주의자들의 시나리오에 활용하기 적합한 지리적 이점을 지니고 있으며
8. 커튼 이면에서 정세를 조종하는 자들이 필리핀에서 100달러 권으로 3조 달러를 발행중인 D. Crayford 의 언급을 묵상해 본다면
9. 결국 그 돈은 전쟁 및 테러자금이자, 대 중국 견제에 필요한 군사자금을 만들어 내는 중인데,
10. 이 위폐제조에는 필리핀 재무부가 관여하고 있었으므로,
11. 미국을 향한 필리핀 대통령 두테르테가 위폐 3조 달러 발행을 인가하는데 관여했을 것이 분명하게 되는데..
12. 결국 미국이나 UN, 오바마를 향한 그의 비난들은 모두 퍼포먼스 일 수도 있다고 보여 진다.
13. 3조 달러 발행에 관한 이후의 소식이 궁금하다..
14. 암튼, 한반도 THAAD 배치는 이미 수 년전 중국의 성장과 군사강국화를 반대하여 국제위상에서 자신들의 지배력을 상실하고 싶어하지 않는
미국 내부를 조종하는 자들의 시나리오 였다는 것을
최근 위키리크스가 일부 자료들을 공개하는 과정에서 밝혀 졌다는 것..이 하단 기사의 요약 사항..
CM 의 수 년전 표현대로 폭로의 시대로 빠르게 흘러 가고
행성은 집단적 교훈을 위한 시간들로 채색되어 가고 있는 것..
이후로도 당분간은 이러한 패턴은 계속 되는데..
미국의 대선 또한 그러하며 약 3주 후면 미국 대선 선거일 이로구나..
"사드로 중국 압박"..3년 전 힐러리 발언 공개
2013년 강연 "북 ICBM 확보 참지 않을 것"중국 안나서면 海·空 군사적 포위로 압박 경고"사드 배치 중국 겨냥 아니다" 정부 입장과 달라중앙일보 유길용 입력 2016.10.15. 04:25 수정 2016.10.15. 07:40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이 3년 전 중국을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한반도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암시하는 입장을 밝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는 사드 배치가 미국의 중국 견제용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어서 사실 여부가 주목된다.
"미사일방어망으로 중국 에워쌀 것" 3년 전 사드 암시
힐러리 클린턴이 3년 전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 저지에 중국이 나서도록 압박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반도 미사일방어망 구축을 구상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메일에는 힐러리가 2013년 6월 골드만삭스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강연의 내용이 들어있었다.힐러리는 당시 강연에서 "중국 인민해방군이 북한의 최대 지원자로, 중국군 지도부와 북한 간의 공고한 유대가 양국 관계의 핵심이 돼왔다"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측근 등 당시 새 중국 지도부가 북한에 도발적 행위를 멈출 것을 종용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북한이 계속해서 미사일을 개발해 소형 핵무기를 탑재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손에 넣는다면 참지 않겠다는 입장을 중국에 전했다"고도 했다.
그는 "미사일이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에 피해를 줄 뿐 아니라 이론상으로는 하와이와 서부 해안까지 도달할 수 있는 만큼 미사일방어망으로 중국을 에워쌀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반발에 대해 정부는 북한의 미사일 방어를 위한 것이라며 중국 견제용이란 주장을 부인해왔다.
━
"사드 중국 견제용 아냐" 한국 정부 주장과 배치돼
힐러리의 이 같은 발언은 사드 배치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게 아니라는 한미 군 당국의 입장과 어긋난다.
우리 정부는 그 동안 사드가 '미국의 중국 견제용'이라는 지적을 부인해왔다.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이메일이 사실일 경우 사드 배치의 명분이 약화될 수 있다.
국내에서 사드 배치가 처음 공론화된 건 2014년 5월이다.
미국이 한국에 사드 배치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논쟁이 시작됐다.
힐러리의 발언을 감안하면 국내에서 사드 논쟁이 시작된 2014년보다 적어도 1년 전 미국이 사드 한반도 배치를 염두에 두고 있었던 셈이 된다. 당시 우리나라 국방부는 사드 배치에 실익이 없다며 도입에 부정적이었다.
힐러리의 이 발언이 나올 당시 미국은 북한의 ICBM 개발 동향을 민감하게 주시하고 있던 터였다.
북한은 2012년 4월과 12월 우주발사체 '은하3호'를 연달아 쏘아 올렸다.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발사, 우라늄 농축을 임시 중단하기로 한 2012년 2ㆍ29 합의를 깬 도발이었다. 이는 ICBM 발사 기술을 확보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당시 미국은 북한에 대한 군사적 압박보다 중국을 통한 외교적 압박에 더 치중했었다.
유길용 기자 yu.gilyong@joongang.co.kr
http://media.daum.net/foreign/newsview?newsid=20161015042504126
댓글